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각 조별 순위(3.26.)

2025. 3. 27. 00:242026 북중미 월드컵/아시아 지역예선

3차 예선 각 조별 순위 현황(3.26. 기준)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으로 레이스가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현재 각 조별 8차전까지 경기가 완료되었는데요, 우리와 아시아의 맹주를 다투는 일본과 이란은 각각 세계에서 첫 번째와 세 번째 본선 진출을 확정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8차전 이후 현재 각 조별 순위는 어떻게 되었으며, 본선으로 어느 나라가 가게 될지 조별 상황과 전망에 대해 간략하게 예측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현황(3.26 현재)

 

<A조  8차전 경기 결과>

①  이란  2 : 2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3 : 1  카타르
③ 북한  1 : 2  아랍에미리트

 

A조  현재 순위

순위 국가명 경기 승점
1 이란 8 6 2 0 16 7 +9 20
2 우즈베키스탄 8 5 2 1 11 7 +4 17
3 아랍에미리트 8 4 1 3 14 7 +7 13
4 카타르 8 3 1 4 16 21 -5 10
5 키르기스스탄 8 2 0 6 9 15 -6 6
6 북한 8 0 2 6 7 16 -9 2

 

A조 최강 이란은 이번 승리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월드컵 본선진출 확정 지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도 만만치 않은 전력을 보여주며 2위에 올라있는데 최소 플레이오프는 확정했고, 전력 상 다음 경기쯤에서 본선 진출을 확정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UAE는 승점 자판기로 전락한 북한을 맞아 승리를 거두며, 경쟁자 카타르 보다 한 발 더 앞서게 되었습니다. 오늘 뉴스에서 UAE가 벤투 감독을 경질했다는 보도를 접했습니다. 사정은 다 있겠지만 UAE 전력이 현재 3위 정도면 나름 선방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의외의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감독이 얼마나 성적을 더 올릴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카타르는 피파랭킹 107위이자 비교적 약체로 분류되는 키르기스스탄을 맞아 불의의 일격을 당하며 이번 월드컵 예선에서 아시안컵 우승국의 위용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본선 직행은 무산이 확정되었고 플레이오프를 통해 월드컵 본선 무대 진출을 노려 볼 것으로 예상됩니다. 키르기스스탄은 카타르에게 고춧가루를 제대로 뿌리며 남은 두 경기에서 마지막까지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북한은 남은 경기와 상관없이 예산 탈락이 확정되었습니다.

 

<B조 8차전 경기 결과>

①  대한민국  1 : 1  요르단
② 팔레스타인  2 : 1  이라크
③ 쿠웨이트  0 :  1 오만

 

B조 현재 순위

순위 국가명 경기 승점
1 대한민국 8 4 4 0 14 7 +7 16
2 요르단 8 3 4 1 13 7 +6 13
3 이라크 8 3 3 2 8 7 +1 12
4 오만 8 3 1 4 8 10 -2 10
5 팔레스타인 8 1 3 4 7 12 -5 6
6 쿠웨이트 8 0 5 3 7 14 -7 5

 

B조는 갈수록 점입가경입니다. 우리나라가 요르단과 홈에서 1:1로 비기며 승점 1점씩 나눠가지게 되면서 조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초 이라크가 팔레스타인을 잡고 15점을 확보하여 2위로 올라올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습니다만, 뜻밖에 팔레스타인이 이라크의 발목을 잡으며 우리나라에게 "니가 가라 월드컵"을 시전 하였습니다. 만약 이라크가 승점을 확보했다면 다음 9차전이 이라크 홈에서 열리는 만큼 상당히 고난의 길을 걸었을 것입니다. 항상 단골로 등장하는 경우의 수를 따지며 끝까지 조마조마했을 것인데, 이라크가 지면서 다음 경기에서 이라크와 비기기만 해도 본선진출을 확정하게 되는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되었습니다. 요르단은 확실히 아시안컵 이후 최고 전성기를 맞이한 듯 보이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한 가운데 오만과 이라크와의 9, 10차전을 통해 본선 진출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라크와 오만도 아직 두 경기가 남아 있으므로 본선 직행을 위해 사력을 다 할 것으로 예상되며 팔레스타인과 쿠웨이트 역시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고 플레이오프 진출을 노리면서 상위권 팀들에게 고춧가루 부대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조  8차전 경기 결과>

①  일본  0 : 0  사우디아라비아
② 중국  0 : 2  호주
③ 인도네시아  1 :  0  바레인

 

C조  현재 순위

순위 국가명 경기 승점
1 일본 8 6 2 0 24 2 +22 20
2 호주 8 3 4 1 13 6 +7 13
3 사우디아라비아 8 2 4 2 4 6 -2 10
4 인도네시아 8 2 3 3 8 14 -6 9
5 바레인 8 1 3 4 5 13 -8 6
6 중국 8 2 0 6 6 19 -13 6

 

C조는 본선을 일찌감치 확정한 일본을 제외하고 나머지 국가들의 치열한 순위싸움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홈에서 사우디를 맞아 로테이션을 돌리는 여유를 부리며 무승부를 기록하여 승점 1점을 추가로 확보하였습니다. 호주는 중국을 맞아 승리를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하였습니다. 사우디는 원정에서 조 최강 일본과 무승부를 거두며 나름 대로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클루이베르트 감독이 취임한 지 두 경기 만에 홈에서 바레인에게 승리를 거두며 사상 최초 월드컵 진출을 노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호주에게 앞선 경기에서 대패하고 신태용 감독을 데려오라는 여론이 빗발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나마 들끓는 여론을 조금 잠재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국은 홈에서 한 수 위인 호주를 맞아 패배하며 플레이오프 진출도 쉽지 않은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월드컵 진출권이 8.5장으로 늘었지만 현재 전력으로는 냉정하게 아시아에서 8위 안에 드는 것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C조는 최종 10차전까지 가봐야 나머지 본선 직행 1개 국과 플레이오프 2개 국이 정해질 것으로 보여 마지막까지 팬들의 손에 땀을 쥐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각 조별 다음 9,10차전 경기일정을 소개하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9차전이 임박해 오면 우리나라와 이라크 경기 프리뷰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A조 향후 경기 일정


< 9차전 일정> : 2025. 6. 5(목)

- 카타르(홈) VS 이란(원정)

- 아랍에미리트(홈) VS 우즈베키스탄(원정)

- 북한(홈) VS 키르기스스탄(원정)

 

< 10차전 일정>: 2025. 6. 10(화)

- 이란(홈) VS 북한(원정)

- 우즈베키스탄(홈) VS 카타르(원정)

- 키르기스스탄(홈) VS 아랍에미리트(원정)

 

 

 

B조 향후 경기 일정


< 9차전 일정>: 2025. 6. 5(목)

- 이라크(홈) VS 대한민국(원정)

- 오만(홈) VS 요르단(원정)

- 쿠웨이트(홈) VS 팔레스타인(원정)

 

< 10차전 일정>: 2025. 6. 10(화)

- 대한민국(홈) VS 쿠웨이트(원정)

- 요르단(홈) VS 이라크(원정)

- 팔레스타인(홈) VS 오만(원정)

 

 

 

C조 향후 경기 일정


< 9차전 일정>: 2025. 6. 5(목)

- 호주(홈) VS 일본(원정)

- 바레인(홈) VS 사우디아라비아(원정)

- 인도네시아(홈) VS 중국(원정)

 

< 10차전 일정>: 2025. 6. 10(화)

- 일본(홈) VS 인도네시아(원정)

- 사우디아라비아(홈) VS 호주(원정)

- 중국(홈) VS 바레인(원정)